[INFORMATION] 업그레이드 되어 돌아온 온라인 합주 플랫폼 싱크룸 2 (SYNCROOM 2)

싱크룸 2 살펴보기
왼쪽에 입력 볼륨과 내장 리버브를 자동 조절할 수 있는 페이더가 있다. 자체 리버브 품질이 우수해 보컬 녹음 시 DAW 없이 마이크를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직접 연결해도 충분한 성능을 발휘하며 조절도 간편하고 직관적이다. 하단에는 녹음, 반주 플레이어, 메트로놈이 있어 합주에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중앙의 믹서창에서는 각 참여자의 볼륨과Pan을 쉽게 조절해 밸런스를 맞출 수 있다. 가장 오른쪽에는 싱크룸 1 사용자들이 기다려온 채팅창이 있다. 싱크룸 1과 같이 별도의 창이 아닌 인터페이스 우측에 내장되어 채팅이 더욱 편리해졌다.

 

오디오 인터페이스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외장형 고성능 오디오 카드로, 마이크 악기 소리를 컴퓨터로 입력하거나 컴퓨터 출력을 헤드폰 스피커로 전달하는 장치다. 합주, 음악 작업, 인터넷 방송 중 문제 발생 시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다수 사용자에게 검증된 브랜드 사용을 권장한다. 대표적인 검증 브랜드로는 Focusrite(포커스라이트), Audient(오디언트), RME가 있다. 가격도 고려해야 하지만, 편의성과 신뢰성을 위해 검증된 브랜드 사용이 바람직하다. 싱크룸 2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레이턴시가 적은 오디오 시스템을 구성해야 하며, 이를 위해 ASIO 드라이버 지원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ASIO 드라이버를 지원하지 않는 기기는 레이턴시가 크므로, 제작사 검증 기기 대비 지연이 훨씬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구매 전 지원 여부 확인이 필수다.

 

마이크
마이크는 보컬에게 필수적인 장비이며 악기를 연주하는 분에게도 앰프 마이킹, 음성으로 의사 전달을 하기 위해 필수적인 장비하고 볼 수 있다. 마이크는 다이내믹 콘덴서 어느것을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각 마이크 별로 장, 단점이 명확하기 때문에 그부분을 잘 고려해 나에게 맞는 마이크를 사용하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다이내믹 마이크는 전천후로 사용하기 매우 적합한 마이크로 인터넷 방송, 녹음, 라이브 연주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노이즈가 적어 별도의 방음 시설 없이도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내구도도 좋아 한번 사면 정말 오랜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감도가 콘덴서 마이크에 비해 낮아 정밀한 녹음에는 부적합한 마이크라 볼수 있다.

 

악기
악기는 기타, 키보드, 드럼 등 자신이 연주하는 악기를 준비하면 된다. 일렉기타라면 조금 준비물이 많은 편인데 일렉기타 외에도 이펙터 앰프 등 다양한 악세사리가 필요한다. 하지만 요즘 이펙터와 앰프를 컴퓨터에 DAW 플러그인(VST)으로 시뮬레이션 하여 대체할 수도 있다. 특히 스칼렛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면 'Marshall®’s Silver Jubilee 2555'와 같은 기타 앰프 시뮬레이션 플러그인을 무료로 제공하니 활용해보는것을 추천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INTERVIEW] 성우 이예은(LEE YE EUN)

세계적인 동영상 소프트웨어 VEGAS Pro의 MAGIX, 사운드캣 독점 계약

사운드캣, 장안종합사회복지관에 음향기기 기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