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RMATION] 음악감상을 하기 위한 기초 지식 몇 가지
현재는 블루투스 이어폰의 대중화로 인해 여러가지 요소를 신경쓰지 않고도 고음질로 음악과 영상매체를 즐길 수 있다. 하지만 가끔 줄 이어폰이 필요할 때도 있고 블루투스 이어폰의 고장으로 인해 줄이어폰을 잠시 사용해야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 상황에서 더욱 음악감상을 할 때 유용한 지식 몇 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DAC란 무엇일까?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유튜브 뮤직, 멜론, 벅스, 애플뮤직, 스포티파이 등등... 모든 음원 사이트의 음원은 0과 1의 신호로 저장되어있다. 하지만 우리는 터치 혹은 클릭 한번으로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에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바로 데스크탑부터 MP3, 스마트폰 안에 내장되어있는 DAC라는 장치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파형으로 변환되기 때문이다. (*DAC는 Digital to Analog Converter 의 약자이다.)
DAC와 앰프랑 차이가 뭔가요?
DAC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주지만 매우 작고 약한 소리로 변환되기 때문에 우리의 귀로 듣기 위해서는 증폭을 시켜주어야한다. Amplifier(앰플리파이어) 즉, 증폭기는 미세한 신호를 크게 증폭시켜주는 장치이기 때문에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이어폰 젠더에는 DAC와 앰프가 함께 들어가있는 것이다. DAC라는게 대중적으로 잘 알려져있지 않은 정보이기에 앰프와 DAC를 혼동하여 사용하여 그렇다. 하지만 오디오 애호가, 프로듀서와 같이 음질적 견해를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는 조금 다른 의미가 되기도 한다. 말 그대로 더욱 좋은 음질과 좋은 결과를 위하여 두개의 분야를 나누어 사용하는 것이다.

MP3
MP3는 흔히 접할 수 있는 가장 대중적인 오디오 포멧으로써 친근하게 느낄 수 있다. 하지만 MP3 형식은 파일의 압축률과 용량의 최소화를 위하여 개발된 포멧이기 때문에 원본의 파일에서 음질 열화가 이뤄지는 손실압축 포맷이다. 현대의 저장공간 과 스트리밍 사이트를 사용하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다른 오디오 포맷이 있다면 굳이 선택할 필요가 없어진 포멧이기도 하다.

AAC
'Advenced Audio Coding'의 약자인 AAC는 MP3 형식 이후에 개발된 포멧이다. 돌비, 소니 AT&T 등의 음향기업이 공동으로 개발하였으며 압축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더욱 고해상도의 음질을 더욱 작은 사이즈의 파일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MP3에 비하여 비트레이트가 커질수록 MP3보다 더욱 고음질의 해상도를 지원한다. 사용자에게 유명하게 알려져있는 파일 확장자로는 .m4a로 잘 알려져있다.

FLAC
FLAC은 손실이 없는 파일, 즉 녹음을 한 직후에 나오는 오디오 파일 원본 확장자인 WAV파일과 동일한 음질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WAV파일을 왜 스트리밍 사이트에서 찾아볼 수 없을까? 파일의 크기가 너무 크기 때문에 음질적 손실을 감수하고 MP3, AAC등의 파일로 용량을 줄여 사용하는 것이다. 16bit, 44.1kHz의 WAV파일 음원은 3분 기준으로 약 30MB이다. 3G 통신 시절의 30MB를 그저 음악 1곡 듣는 것에 사용하는 것은 통신의 한계로 다소 무리가 있었다.. 하지만 WAV 파일의 음질을 손실없이 재생 가능한 무손실압축포멧 FLAC은 30MB의 WAV 파일을 15~16MB의 사이즈로 줄일 수 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