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NK] Peak, True Peak, LUFS 및 RMS의 차이점 : 라우드니스 측정 방법
어떻게 소리를 측정할까?
우리 모두는 트랙이 크게 들리길 원한다. 하지만 "내 곡이 얼마나 큰 소리일까?"라고 스스로 물어본 적 있는가? 간단한 질문이지만, 답변하기 위해선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소리의 크기'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것을 의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론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뜻할 수 있다.
• 곡이 최고 볼륨에서 얼마나 큰 소리인지
• 곡 전체의 평균 소리 크기
• 곡의 한 부분에서의 평균 소리 크기
• 곡이 얼마나 크게 들리는지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
이것이 바로 소리 크기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하는 이유다. 각각의 방법은 신호의 특정 특성을 측정하도록 설계되었다. Peak, True Peak, RMS, LUFS – 이러한 용어들을 들어봤을 것이다. 이들은 모두 게인을 측정하지만, 각기 다른 방식으로 한다. 따라서 소리 크기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믹스에 어떻게 활용할지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 그럼 시작해보자.

시점 측정과 통합 측정 (평균값)
소리 크기를 측정하는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다.
1) 시점 측정(Point in Time): 특정 시점에서 신호의 크기를 측정한다 – 지금 이 순간, 곡이 얼마나 큰 소리인지
2) 통합 측정(Integrated): 일정 시간 동안의 평균 신호 크기를 측정한다 – 곡의 전체적인 소리 크기는 얼마나 되는지
Peak와 True Peak는 시점 측정 방식이다. 이는 특정 시점에서의 신호 크기를 측정한다. LUFS와 RMS는 통합 측정 방식이다. 일정 시간 동안의 평균 신호 크기를 측정한다. 이것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 Peak와 True Peak : 특정 시점에서의 소리 크기를 알려준다.
• LUFS와 RMS : 일정 시간 동안의 평균 소리 크기를 알려준다.
Peak와 True Peak : 시점에서의 소리 크기 측정
Peak는 신호가 도달하는 최대치, 즉 신호에서 가장 '큰' 소리를 의미한다. 오늘날의 플로팅 포인트 DAW에서는 Peak에 대해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다. 우리가 신경 써야 할 것은 마스터 트랙에서 Peak 값이 0.0 dB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개별 트랙에서 Peak가 0.0 dB를 넘는 것은 상관없지만, 마스터 Peak 값은 0.0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True Peak는 신호가 도달하는 최대치, 즉 신호에서 가장 '큰' 소리를 의미한다. True Peak는 Peak의 더 정확한 버전이라고 볼 수 있다. 더 세밀하게 측정하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더 정확한 값을 제공하지만, 사실 둘 다 신호가 도달하는 최대치를 측정한다. 어떤 것을 사용해도 상관없지만, 가능하다면 True Peak가 더 정확하다.

RMS와 LUFS : 통합 소리 크기 측정
RMS는 일정 시간 동안 신호의 평균 크기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신호의 평균 전력을 사용한다. LUFS는 일정 시간 동안의 신호 평균 크기를 측정하되, 사람의 소리 인지 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둘 다 통합 소리 크기 측정 방식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즉, 일정 시간 동안의 소리 크기를 측정한다. 차이점은 소리 크기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 RMS : 신호의 전압을 기준으로 소리 크기를 측정한다.
• LUFS : 사람이 소리를 어떻게 인지하는지를 기준으로 소리 크기를 측정한다.
어느 것이 더 나은지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맞다, LUFS가 더 낫다. 그리고 그 이유로 업계 표준이 되었다. LUFS는 사람의 인지 방식을 기준으로 소리 크기를 측정하기 때문에, 우리가 실제로 얼마나 크게 느끼는지 더 정확하게 반영한다. 청취자들은 소리 크기를 메터링 플러그인으로 분석하지 않고, 단순히 듣는다. 그래서 LUFS가 더 나은 선택이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LUFS는 업계 표준이다. 이 점만으로도 LUFS를 사용할 이유는 충분하다. 스트리밍 서비스나 다른 플랫폼에 트랙을 보내기 위해 믹스를 준비할 때 LUFS 기준으로 작업하면 더 수월하다. RMS 미터만 있다면, 그것도 괜찮다. LUFS 미터와 RMS 미터는 매우 비슷한 값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선택할 수 있다면 LUFS를 사용하길 권장한다.
라우드니스 전쟁
라우드니스 전쟁은 끝났다. 스트리밍 플랫폼들이 이를 해결했기 때문이다. LUFS가 일정 시간 동안 곡의 평균 소리 크기를 측정하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스트리밍 플랫폼들은 제출된 곡의 LUFS 값을 측정하고, 그 값이 너무 높으면 볼륨을 낮춘다. 결과적으로, 트랙을 최대한 크게 만들 이유가 사라졌다. 스트리밍 서비스들이 자동으로 소리를 낮출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 주요 스트리밍 서비스들의 최대 LUFS 기준치가 있다.
추천 메터링 플러그인
Peak, True Peak, RMS, LUFS의 차이점을 이해했고, 주요 스트리밍 서비스에 맞춰 마스터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알았다. 이제는 메터링 플러그인을 사용해 소리 크기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믹스를 개선할 때다.
• Youlean Loudness Meter 2 – 최고의 무료 옵션
• ADPTR AUDIO Metric AB – 탁월한 레퍼런싱 도구로, 메터링 기능도 포함되어 있다. 매우 유용하다.
• Waves WLM Plus Loudness Meter
• FabFilter Pro-L – 다양한 메터링 도구를 포함한 훌륭한 리미터
• LEVELS by Mastering in the Mix
마무리
소리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은 단순히 트랙의 볼륨을 확인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각기 다른 측정 방식들이 있으며, 그에 따라 우리가 무엇을 정확히 알고자 하는지에 따라 적절한 도구를 선택해야 한다. Peak와 True Peak는 신호의 최고점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주로 짧은 순간의 소리 크기를 알고 싶을 때 유용하다. 반면, RMS와 LUFS는 평균 소리 크기를 측정하며, 특히 LUFS는 인간의 인지 방식을 반영하기 때문에 청취자가 경험하는 실제적인 소리 크기를 정확하게 나타낸다. 오늘날 LUFS가 업계 표준으로 자리 잡은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스트리밍 서비스들이 자동으로 소리 크기를 조정하는 환경 속에서, LUFS를 기준으로 작업하면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준을 알면 믹스를 준비하거나 마스터링할 때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좋은 메터링 플러그인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Youlean Loudness Meter 2와 같은 무료 도구부터, FabFilter Pro-L처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고급 플러그인까지, 각자의 필요에 맞는 도구를 선택하여 작업하는 것이 더 나은 믹스를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소리의 크기와 관련된 다양한 측정법들을 잘 이해하고, 그 정보를 믹스에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더 나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