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실수인가 예술인가 – 명곡 속 \'의도된 듯한\' 오류들
우리가 익숙하게 들어온 명곡들에도, 귀를 의심하게 만드는 순간들이 있다. 기타가 삐끗하고, 음이 살짝 삐걱이며, 누군가 갑자기 욕설을 내뱉는 소리가 들린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 모든 것들이 앨범에 ‘그대로’ 들어가 있다는 사실. 단순한 편집 실수였을까? 아니면 의도된 연출일까? 음악팬이라면 한 번쯤 궁금했을 “이거 일부러 넣은 거 맞아?” 싶은 순간들을 모아봤다. 1. The Beatles – “Hey Jude” (1968) 전설적인 곡 ‘Hey Jude’의 후반부, 코러스가 반복되던 도중 작게 들리는 한마디. 바로 “f*ing hell!”이라는 욕설이다. 이건 당시 폴 매카트니가 보컬 테이크 중 가사를 실수했을 때 튀어나온 말로, 원래는 편집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그 테이크가 너무 완벽했고, 오히려 “너무 인간적이어서 좋다”는 의견이 제작진 내부에서 나왔다. 결국 최종 마스터링 단계에서도 이 부분은 완전히 삭제되지 않았고, 지금도 팬들은 볼륨을 높여 이 숨겨진 욕설을 찾아 듣곤 한다. 곡의 2분 57초 부분에서 들어볼 수 있다. 2. Green Day – “Good Riddance (Time of Your Life)” (1997) 곡이 시작되기 전, 기타에서 뭔가 툭— 하고 튕기는 소리가 들린다. 이건 빌리 조 암스트롱이 기타 연주를 실수해서 "젠장"이라며 멈춘 순간을 그대로 담은 것이다. 보통 이런 실수는 바로 편집하거나 녹음을 다시 하는데, 그린데이의 선택은 달랐다. 그는 이 곡이 ‘삶의 쓸쓸하고도 아름다운 이면’을 담고 있기에 완벽하게 다듬어진 사운드보다, 실수를 담은 진짜 순간이 더 적절하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3. Radiohead – “Creep” (19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