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The Weeknd와 ‘Blinding Lights’ : 신스팝의 유령은 여전히 살아있다
‘레트로’는 한때 지나간 유행이 아닌, 오히려 새로운 영감을 위한 채굴지다. 그리고 그 채굴의 중심에는 1980년대 신스팝(Synth-pop)이 있다. 이 장르의 대표적 현대적 부활 사례로 꼽히는 곡이 바로 The Weeknd의 2019년작 ‘Blinding Lights’다. 이 곡은 80년대의 사운드를 단순히 흉내 낸 것이 아니라, 신스팝 특유의 정서와 음향을 현대의 감성으로 되살린 완성도 높은 결과물로 평가받고 있다. ‘Blinding Lights’는 디스코와 더불어 2020년대 팝 음악 전반에 불고 있는 복고 열풍의 정점에서, 신스팝의 유령이 여전히 살아 있음을 증명한다. 1980년대 신스팝의 정체성과 배경 신스팝은 1970년대 말에서 80년대 초에 걸쳐 등장한 전자음악 하위 장르로, 초기 디지털 신시사이저와 드럼 머신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전통 밴드 사운드와는 다른 인공적이면서도 감성적인 사운드를 창출했다. 대표적인 아티스트로는 Depeche Mode, A-ha, Pet Shop Boys, New Order, Duran Duran 등이 있다. 이들은 미니멀한 코드 진행, 반복되는 신스 아르페지오, 멜랑콜리한 분위기, 강렬한 리듬감을 특징으로 삼았다. 신스팝은 당시 기술적 진보와 함께 ‘미래지향적인 감수성’으로 포장되었지만, 그 음악 안에는 의외로 인간적인 불안과 정서적 외로움이 깊이 새겨져 있었다. 이런 감정은 21세기의 혼란과 고립, 디지털 과잉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 청자들과 강하게 공명할 수밖에 없다. ‘Blinding Lights’가 구현한 신스팝의 현대적 재해석 The Weeknd는 ‘Blinding Lights’에서 80년대 신스팝의 구조와 정서를 거의 교과서처럼 충실하게 재현한다. 이 곡은 마치 A-ha의 ‘Take On Me’나 Bronski Beat의 ‘S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