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025의 게시물 표시

[TREND&GENRE] Hair 메탈, Glam 메탈 의 선구자. 레트(RATT)

이미지
RATT는 강렬한 8비트의 기타 리프와 트윈기타를 앞세운 당대 최강의 연주력, 스트레이트한 금속성 보컬 그리고 코어 멤버들의 만찢남 같은 외모로 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Motley Crue 와 함께 Hair 메탈, Glam 메탈의 선구자로 불렸다. 90년대 이후로 멤버들의 이탈과 헤비메탈 붐의 하락으로 자연스럽게 대중에게서 멀어졌지만 밴드의 활동은 2022년까지도 지속 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비록 라이벌이었던 머틀리 크루와 상업적 격차는 엄청나게 벌어졌지만 빌보드 탑 100위 권 안의 싱글 히트곡들도 많이 가지고 있다.   1984년 빌보드 핫 100 12위에 랭크 되었던 Round and Round 는 2023년 롤링스톤지로부터 100 Greatest Heavy Metal Songs of All Time의 20위에 선정 되기도 하였다. 1974년 미국 LA에서 보컬 스티븐 퍼시 Stephen Pearcy(1956)가 결성한 그의 두 번째 밴드 Crystal Pystal이 1976년 Mickey RATT 로 바뀌고, 77년 부터는 줄여서 RATT로 활동 하기 시작했다. Mikey Ratt 시절에는 훗날 오지 오스본을 거쳐 Badlands를 결성하게 되는 제이크 이 리 Jake E. Lee도 재적했었으며, 이 시기 많은 데모 곡들을 발표하게 된다. 수많은 멤버들이 들락날락하는 사이 81년 82년 사이 트윈 기타의 양날개가 되는 로빈 '킹' 크로스비 Robbin 'King' Crosby(1959 - 2002)와 워렌 디 마티니 Warren De Martini (1963)가 영입되어, 1982년 여러 밴드들과 같이 한 옴니버스 앨범 Metal Massacre에 첫 싱글 Tell the World를 수록하게 된다. 이 후 Dokken출신의 베이스와 보컬의 후안 크루셔 Juan Crucier(1959), 드럼에 바비 블로처 Bobby Blotzer(1958) 가 가세하면서 RATT의 클래식 라인업이 완성되어 1983년 10만장 이...

[TREND&GENRE] 잊혀진 명곡 : 시대를 초월한 숨은 보석 같은 음악들

이미지
1975년, 실비아 로빈슨의 "Pillow Talk" 1970년대는 디스코와 펑크 음악이 전성기를 누리던 시기였다. 그런데 이 시기, 빌보드 차트를 달군 수많은 히트곡들 사이에서 묻혀버린 곡이 하나 있다. 바로 실비아 로빈슨의 "Pillow Talk"다. 이 곡은 당시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시간이 흐르며 숨은 명곡으로 재조명받고 있다.   2006년에는 영국 출신의 일렉트로닉 듀오 Goldfrapp가 "Satin Chic"이라는 곡에서 "Pillow Talk"의 분위기와 멜로디를 오마주하며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실비아 로빈슨은 이미 1950년대 후반부터 송라이터로 명성을 떨치던 인물이다. 그녀는 킹스턴 트리오의 "Scotch and Soda" 같은 곡을 썼고, 이후에는 자신의 곡 "Love Is Strange"로 송라이터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하지만 "Pillow Talk"는 그녀의 경력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 곡은 당시로서는 매우 대담한 주제를 다뤘기 때문이다.   "Pillow Talk"는 말 그대로 '베개 위의 대화'를 주제로 한 곡이다. 이 곡은 섹슈얼리티를 은유적으로 표현하면서도, 당시 사회적 금기를 과감히 건드렸다. 가사 속에는 "When you're not near me, I'm restless and blue / I spend the night making love to you"라는 대목이 등장한다.   ("네가 내 곁에 없을 때면, 나는 불안하고 우울해 / 너와 밤새 사랑을 나누며 시간을 보낸다.") 이는 당시 기준으로는 매우 파격적인 내용이었다. 실비아는 이 곡을 통해 사랑과 욕망의 경계를 아름답게 그려냈다. 하지만 이 곡은 당시 큰 논란을 일으켰다. 라디오 방송국들은 이 곡을 금지곡으로 지정했...

[INFORMATION] Pro 제품군 오디오 커넥터 소개

이미지
[ 아날로그 단자 ] TRS 단자 TRS 단자는 5.5 파이의 사이즈로 되어있는 단자이며 +, -, Ground 의 신호선으로 구성되어있어 밸런스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다만 헤드폰의 단자로 사용할 시 L, R, Ground의 신호선으로 사용하게 되어 언밸런스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TRS 단자의 경우 후술할 XLR 커넥터와도 호환이 가능하다.   TS 단자 TS 단자는 TRS 단자와 동일한 사이즈의 5.5 파이의 사이즈로 되어있는 단자이나 Tip, Sleeve로 2개의 극성을 가지고 있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 Ground의 신호를 가지고 있으며 언밸런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보통적으로 기타와 앰프의 연결선으로 많이 사용된다.   XLR 단자 XLR 단자는 TRS 단자와 같이 극성이 3개로 이루어져 있다. +, -, Ground의 신호로 이루어져 있기에 밸런스 신호를 전달이 가능하며 TRS 케이블과 달리 케이블을 장착 해제 할 때 잠시 극성이 맞지 않아 '우웅' 소리가 나지 않는 점이 장점이다. 콘덴서 마이크와의 연결 시 Ground 신호선으로 추가적인 전류를 공급해 Phantom Power(팬텀 파워)를 사용할 수 있다.   [ 디지털 단자 ] ADAT 단자 Optical 단자와 비슷한 ADAT 방식은 Optical의 최대 전송률인 24bit 192kHz의 2채널을 전달하는 것과 다르게 16bit 48kHz의 8채널을 전달할 수 있다. 다 채널을 활용하기 위한 디지털 전송 방식으로써 작업자에게 적합한 전송 방식이다.   AES/EBU 단자 Audio Engineering Sociey와 European Broadcasting Union의 약자로, 두 단체가 협력하여 만든 표준 규격이다. 24bit 192kHz의 신호를 단일 캐이블 2채널 전송할 수 있으며 디지털 신호라는 장점으로 최대 전송 가능 거리는 수백 미터에 달한다. XLR 커넥터를 사용하여 안정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다.   BNC 단자 ...

[INFORMATION] Focusrite Scarlett 16i16 18i16 18i20 4세대 국내 출시

이미지
국민 오디오 인터페이스 포커스라이트 스칼렛(Focusrite Scarlett) 4세대 16i16, 18i16, 18i20이 국내 출시되었다. 스칼렛 라인업은 3세대에서 4세대로 변경되며 DAC, 프리앰프 성능이 대폭 확대되고 녹음에 편리한 부가기능까지 추가되어 같은 라인업이라고 말하기 무색할 정도의 업그레이드가 있었다. 주요 업그레이드 부분은 사용자가 오인페 설정보다는 녹음에 좀 집중할 수 있게 도와주는 오토 게인과 Clip Safe 모드와 같은 기능이 추가되어 입문 장벽과 편의성이 대폭 업그레이드되었다. 그 중에서도 이번 4세대 모델은 Focusrite의 기함 모델인 RedNet 제품군과 동일한 프로급 컨버터를 갖추고 있어 녹음 품질이 굉장히 좋아진 것을 가장 큰 업그레이드라고 볼 수 있다. 4세대 스칼렛의 마이크 프리앰프는 보컬과 악기의 음색, 디테일을 하나도 놓치지 않고 그대로 소리로 남아내며 69dB 폭넓은 게인레인지를 통해 미세한 소리도 잡아낼 수 있다.   Scarlett 16i16 4세대 - 간단한 2인 작업용 오디오 인터페이스 Focusrite의 기함급 RedNet 제품군에 사용되는 컨버터를 탑재한 Scarlett 16i16은 음악 작업을 위한 최고의 USB 오디오 인터페이스입니다. 입력 16개와 출력 16개에는 마이크, 라인, 악기, 각종 다양한 아웃보드를 연결할 수 있다. 전면에서 가장 큰 차이점은 Mute 버튼과 헤드폰 단자가 하나 더 추가되었으며, 기존에 없던 Alt 버튼이 추가되었다. 헤드폰 단자가 추가되어 DAW를 조작하는 엔지니어와 악기 또는 보컬 연주자가 동시에 헤드폰을 착용할 수 있게 되었다. 집에서 간단히 친구와 녹음을 하는 경우 혹은 2명이 동시에 인터넷 방송을 진행하는 경우 모니터링이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Mute 버튼은 버튼 하나로 스피커를 음소거 할 수 있는 매우 편리한 기능으로 어느 정도 급이 되는 오인페에서는 필수적인 버튼이다.   Scarlett 18i16 4세대 - 2명 이상 방송, 녹음이 가능...

[INFORMATION]

이미지
국민 오디오 인터페이스 포커스라이트 스칼렛(Focusrite Scarlett) 4세대 16i16, 18i16, 18i20이 국내 출시되었다. 스칼렛 라인업은 3세대에서 4세대로 변경되며 DAC, 프리앰프 성능이 대폭 확대되고 녹음에 편리한 부가기능까지 추가되어 같은 라인업이라고 말하기 무색할 정도의 업그레이드가 있었다. 주요 업그레이드 부분은 사용자가 오인페 설정보다는 녹음에 좀 집중할 수 있게 도와주는 오토 게인과 Clip Safe 모드와 같은 기능이 추가되어 입문 장벽과 편의성이 대폭 업그레이드되었다. 그 중에서도 이번 4세대 모델은 Focusrite의 기함 모델인 RedNet 제품군과 동일한 프로급 컨버터를 갖추고 있어 녹음 품질이 굉장히 좋아진 것을 가장 큰 업그레이드라고 볼 수 있다. 4세대 스칼렛의 마이크 프리앰프는 보컬과 악기의 음색, 디테일을 하나도 놓치지 않고 그대로 소리로 남아내며 69dB 폭넓은 게인 레인지를 통해 미세한 소리도 잡아낼 수 있다.   Scarlett 16i16 4세대 - 간단한 2인 작업용 오디오 인터페이스 Focusrite의 기함급 RedNet 제품군에 사용되는 컨버터를 탑재한 Scarlett 16i16은 음악 작업을 위한 최고의 USB 오디오 인터페이스입니다. 입력 16개와 출력 16개에는 마이크, 라인, 악기, 각종 다양한 아웃보드를 연결할 수 있다. 전면에서 가장 큰 차이점은 Mute 버튼과 헤드폰 단자가 하나 더 추가되었으며, 기존에 없던 Alt 버튼이 추가되었다. 헤드폰 단자가 추가되어 DAW를 조작하는 엔지니어와 악기 또는 보컬 연주자가 동시에 헤드폰을 착용할 수 있게 되었다. 집에서 간단히 친구와 녹음을 하는 경우 혹은 2명이 동시에 인터넷 방송을 진행하는 경우 모니터링이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Mute 버튼은 버튼 하나로 스피커를 음소거 할 수 있는 매우 편리한 기능으로 어느 정도 급이 되는 오인페에서는 필수적인 버튼이다.   Scarlett 18i16 4세대 - 2명 이상 방송, 녹음이 가...

[INFORMATION] 가장 가성비가 높은 마스터 키보드, 바로 노베이션 런치키MK3(미디키보드, 미디 컨트롤러)

이미지
런치키 MK4가 발매되어,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가운데, 당사는 기존 MK3의 재고분을 대폭 가격 인하하여 공급하고 있다. 또한 프로 오디오 음향 그룹인 포커스라이트(Focusrite)산하의 노베이션(Novation Music)사의 제품으로 그룹 전체의 힘을 받을 수 있어 구입한 후 더욱 가치가 빛나는 제품이기도 하다. 2025년 현 시점 노베이션 런치키 MK3가 가장 경쟁력 있고 뛰어난 키보드인지에 대해서 소개해 보겠다.   이유 1 : 경쟁력 있는 가격과 신뢰성 있는 브랜드 런치키는 MK4 버전이 출시하여 현재 이전 버전인 MK3 버전을 대폭 할인하고 있다. 런치키 MINI MK3는 14만 8천 원에 불과할 뿐만 아니라 37, 49, 88 키보드까지 경쟁력 있는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경쟁력이 있는 가격과 3년에 걸친 A/S 보증 기간, 그리고 업력으로 입증된 신뢰성 바로 런치키 MK3이다.   이유 2 : 계속 추가되는 플러그인과 노베이선 컴포넌트 런치키 MK3에는 에이블톤 라이브 라이트뿐만 아니라, 다양한 플러그인을 제공한다. - XLN Audio Addictive Keys - 상징적인 스타인웨이® 모델 D를 기반으로 한 스튜디오 그랜드 피아노 - AAS Session Bundle - 트랙에 꼭 필요한 사운드: 라운지 리자드의 정통 클래식 일렉트릭 피아노 톤, 스트럼 세션의 어쿠스틱 및 일렉트릭 기타 사운드, 울트라 아날로그 세션의 사용하기 쉬운 메이저 신디사이저 음원 - Spitfire Audio LABS Expressive Strings - Launchkey 익스클루시브 : 표현력 있고 사실적인 스트링을 제공 - Klevgrand R0Verb - 간단한 리버브와 매우 복잡한 딜레이의 하이브리드 이펙터 리버브를 디자인하고 고유한 공간에 사운드를 배치 - Klevgrand DAW Cassette - 채도, 왜곡, 노이즈, 흔들림을 정확하게 재현하여 빈티지 사운드를 재생   이유 3 : 주요 DAW와 호환성 노베이션사는...

[INFORMATION] 탑라이너, 트랙메이커, 비트메이커, 프로듀서 차이가 대체 뭐야? (작곡가)

이미지
    미디(MIDI) 음악이란? 미디는 Musical Instruments Digital Interface로 1983년에 롤랜드 창업자인 '가케하시 이쿠타로'와 시퀀설 창업자인 '데이브 스미스' 주도로 만들어진 전자악기간의 통신 규약이다. 두 사람은 이에 대한 공로로 그래미 어워드를 평생공로상(Grammy Lifetime Achievement Award)을 수상하였다. 그만큼 대단한 업적을 만든 것이고 이 두 사람과 마이크 프리 앰프 등으로 유명한 루퍼트 니브도 이 상을 수상했다.   미디보다는 컴퓨터 음악 (=DAW, Digital Audio Workstation) 컴퓨터 음악은 1983년에 미디 규약이 나오고 1996년에 스테인버그에서 큐베이스 3.02에 VST(버츄얼 스튜디오 테크놀로지)를 제안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했다. 컴퓨터 음악은 초기 미디 시퀀싱 > 오디오 레코딩 > VST로 발전했다고 보면 되는데 VST는 그동안 하드웨어 악기를 소프트웨어하고(VSTi), 이펙터 등을 모두 프로그램 처리한 것으로, 큐베이스 3.02는 이때부터 DAW로 불리게 되었다.. DAW는 그 영역이 매우 매우 넓은데, 미디 시퀀싱 (Notes, 악보), 오디오 레코딩, 오디오 편집, 가상악기 사용, 가상 이펙터 사용, 믹싱, 마스터링으로 나눠진다. 이 모든 것을 포함하고 있어 과거 스튜디오의 모든 부분을 소프트웨어 하나로 통합했다고 보면된다.   DAW로는 어떤 음악도 만들 수 있어 DAW로 만들 수 있는 음악은 국악, 클래식, 메탈, 헤비메탈, 블랙메탈, 오케스트라, 오페라, 랩, 힙합, EDM, 발라드, 댄스, 게임 BGM, 트로트 등 무엇이든 만들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일부 컴퓨터 음악이 EDM이나 댄스 등을 말하는 것으로 알고 있으면 안 되며, 요즘 클래식을 기반으로 하는 음악대학에서도 컴퓨터는 모두 사용하며 심지어 컴퓨터 음악 프로그램 DAW가 필수 과목이라는 사실만 봐도 모든 음악은 컴...

[INFORMATION] FLKEY, 런치키 MK4, SL MK3 등 GFORCE BASS STATION (베이스 스테이션) 무료 제공

이미지
포커스라이트에 이어 노베이션도 해냈다. Novation과 GForce Software가 협력하여 클래식 아날로그 신디사이저의 부활을 알리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신스를 출시했으며, 이를 기념하여 FLKEY, 런치키 MK4, SL MK III 사용자들에게 무료로 제공한다. (정식 판매가 49.9 파운드, 약 90,000원)이 제품 사용자들은 노베이션 뮤직(Novaionmusic.com 계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993년 첫 선을 보인 Novation의 Bass Station은 출시 이후, 베이스 신디사이저의 명작으로 자리매김하며, 강렬한 저음과 독특한 아날로그 필터로 많은 음악 프로듀서와 연주자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GForce Bass Station으로 명명된 이 새로운 소프트웨어 버전은 원래 하드웨어의 따뜻한 사운드를 충실히 재현하면서도 현대적인 기능을 추가했다. 주목할 만한 특징으로는 최대 16음 동시 발음, 유니즌 모드, 그리고 GForce의 독자적인 X-Modifier 기술을 통한 확장된 모듈레이션 옵션 등이 있다. 현재 GForce 홈페이지를 통해 직접 구매할 수 있으며, Novation 컨트롤러 구매 시 이 플러그인을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다. 클래식 아날로그 사운드를 현대적인 디지털 워크플로에 통합하고자 하는 음악가들에게 매력적인 옵션이며, 이를 무료로 누릴 수 있다.   두 개의 독립적인 오실레이터 Sine, Saw, Square 파형을 지원하며, 오실레이터 싱크 기능으로 다양한 사운드 제작 가능   클래식 아날로그 필터 12dB/24dB 로우패스 필터와 레조넌스 조절로 다양한 음색 구현   ADSR 엔벨로프 필터와 앰프에 독립적으로 적용되어 다이내믹한 사운드 표현 가능   내장 이펙트와 모듈레이션 2개의 LFO와 디스토션 효과로 사운드 변조 및 강화 지포스 베이스 스테이션은, 주요 DAW와 호환되며, MIDI 컨트롤러 연동으로 직관적인 연주가 가능    

[INFORMATION] [제품 소식] 64AUDIO U18t, U12t 외관 변경 및 구성품 변경 안내

이미지
64AUDIO U18t 64AUDIO(64오디오) U18t는 2016년 11월에 출시 당시 이어폰 유닛당 드라이버가 최초로 18개로 구성된 유니버셜 인이어를 시장에 공개하였으며 10년에 가까운 기간 동안 많은 오디오 애호가와 아티스트의 인이어로 사랑받았다. 강렬한 인상의 붉은색 외관과 매우 뛰어난 해상도, 고역대의 표현력은 출시 당시는 물론 10년 가까이 지난 지금까지도 호평을 받는 사운드로 자리 잡았다. 64AUDIO(64 오디오) U18t는 올해 초 U18t의 새로운 디자인을 출시하며 다시 한번 세상에 등장했다. 이어폰의 금속 유닛은 U18t의 아이덴디티인 빨간색을 유지하였고 이어폰 전면 페이스플레이트 주변에는 고급스러운 로즈골드 장식이 추가되었다.   페이스 플레이트는 가죽의 질감을 연상하게 되는 질감으로 고급스럽게 변경되었으며 이어폰 페이스 플레이트 중앙엔 64AUDIO 로고가 양각으로 변경되어 출시되었다. 64AUDIO(64오디오) U18t는 출시 당시 20만 원 상당의 프리미엄 케이블인 Lagacy Premium Cable을 함께 제공하였으며 시간이 지나며 함께 제공한 케이블을 30만 원 상당의 Premium Cable로 업그레이드하여 제공하였다. 64AUDIO(64오디오) U18t의 페이스 리프팅이 진행된 후 내부 구성품에도 약간의 변화가 생겼다. 이전에 제공된 Premium Cable은 3.5 단자로 제한되어 지급되었으나 4.4 단자의 보급화와 오디오 시장의 변화에 맞춰 4.4 단자 또한 함께 제공한다. 64AUDIO(64오디오) U18t는 기존 Apex 모듈을 Mx, M15, M20 모듈만 제공하던 반면 내부 구성품이 업그레이드되었다. 이전 64AUDIO Volur(볼루어)의 한정 Apex 모듈이었던 M12 모듈은 많은 오디오 애호가에게 U18t, U4s 등 다양한 64AUDIO의 유니버셜 인이어에 조합한 결과 호평이 계속되었으며 이를 인지한 64AUDIO 측에서도 U18t의 페이스 리프팅 버전에 M12 모듈을 함께 제공한다. ...

[INFORMATION] [신제품] Cayin HA-300 MK2 프리미엄 진공관 앰프 출시

이미지
Cayin은 1993년에 설립된 하이파이 브랜드다. 하이엔드 튜브 앰프에서 포터블 DAP까지 폭넓은 하이파이 제품을 30년간 400개 이상의 제품을 개발하며 기술력을 성장시켰다. 70개 이상의 국제 오디오 수상 경력을 가진 Cayin(케인)은 세계에서 가장 큰오디오 진공관 앰프 개발 및 제조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진공관으로 오디오 애호가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을 만들고 있는 매력적인 하이파이 오디오 브랜드다.   Cayin(케인) HA-300 MK2는 DHT(Directly Heated Triode) 방식의 진공관 앰프다. 직접 가열 삼극관 방식은 진공관 내부에 존재하는 필라멘트가 직접 가열되며 전자를 방출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매우 낮은 왜곡률과 높은 음질을 들려준다. 또한 높은 전압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고출력을 보장한다. DHT 방식에 출력관으로 사용되는 진공관은 Genelex Gold Lion PX300B 진공관을 사용하고 있다. 좌우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2개의 진공관이 공장 제조 단계에서 검수가 된 Matched Pair 진공관으로 사용된다. Cayin(케인) HA-300 MK2의 드라이버관으로는 6SN7 진공관을 사용하였다. Cayin은 약 30년간 300B 진공관을 사용하여 여러 제품을 출시하였으며 그중 가장 최고의 조합은 6SN7 드라이버관이였다. Cayin의 과거의 명성은 HA-300 MK2에서 다시 발현된다. 모든 오디오 기기의 기본이자 해결해야 할 숙명은 양질의 전원 공급 방식이다. Cayin(케인) HA-300 MK2의 전원부 정류관은 22DE4 진공관을 사용했으며 RCA 사의 NOS 22DE4 진공관을 4발 사용한다. 내부 메인 증폭 회로와 분리된 전원부 회로를 사용하여 간섭을 물리적으로 차단하였으며 HA-300 MK2에 맞춤 제작된 가장 깨끗한 전력을 공급한다. 헤드폰의 임피던스에 따라 진공관 앰프 특유의 자연스럽고 풍성한 저음은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Cayin(케인) HA-300 MK2는 헤드폰 임피던...